Home > 전통예절 > 품계, 관청, 연호

조선 시대[품계]

현 대

품 계

직책

입법부

정부기관

지방행정

사법부

외무부

일반
행정부

국회
의장

대통령

대법
원장

정1품

영,좌,우의정

국무총리

종1품

좌,우찬성

부총리

정2품

판서
좌,우참찬

장관
차관

도지사
광역시장

대법원
판사

장관
차관

장관
차관

종2품

참판
관찰사

차관보

법원장
검사장

차관보

차관보

정3품

(당상관)

참의
목사
도호
부사

관리관

2호
이상

관리관

관리관

종3품

집의
사관

이사관
국장

4호
이상
판검사

이사관

이사관

정4품

군수
사인
장령

부이사관
(3년이상)

6호
이상
판검사

부이
사관

부이사관

종4품

경력
첨정

정5품

현령
판판
지평

서기관
(과장)

군수
부군수
국장

9호
이상
판검사

서기관

서기관

종5품


정6품

정량
교리


좌랑
감찰

사무관
(계장)

과장
(면장)

사무관

사무관

종6품

현감
찰방

정7품

박사

주사

주사
(계장)

주사

주사

종7품


정8품

직장
저작

주사보

주사보

주사보

주사보

정9품

정사
훈도

서기

서기

서기

서기

종9품

참봉

서기보

서기보

서기보

서기보








급사중(給事中)
고려 때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에 소속된 종 4품의 벼슬.

기거랑(起居郞)

고려 때 문하부(門下府)의 관직으로 종 5품의 벼슬.

기거사인(起居舍人)

고려 때 문하부(門下府)의 관직으로 종 5품, 후에 정 5품이 되었다.

기거주(起居注)

고려 때 문하부(門下府)의 관직으로 종 5품, 후에 정 5품이 되었다.

낭관(郎官)

조선의 6품관(六品官).

낭사(郎舍)

고려 문하성(門下省)에 소속된 간관(諫官)의 총칭.

낭장(郎將)

고려 때 정 6품의 무관직.

낭중(郎中)

신라 때 관직으로 사지(舍知:13등급)에서 내마(奈麻:11등급)까지 역임.
고려 때 6부(六部)에 소속된 정 5품의 벼슬.

낭청(郎廳)

조선 때 비변사(備邊司)에 속한 종 6품의 관직.

내급사(內給事)

고려 때 전중성(殿中省)에 소속된 종 6품의 벼슬.

내사사인(內史舍人)
고려 때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에 소속된 종 4품의 벼슬.

내사시랑평장사(內史侍郞平章事)

고려 때 문하부(門下府) 소속의 정 2품 벼슬.

내시(內侍)

고려 때 재주와 용모가 뛰어난 세족자제(世族子弟)들을 임용하여 숙위(宿衛) 및 근시(近侍)의 일을 맡던 관원. 조선 때 환관의 별칭.

내신좌평(內臣佐平)

백제의 1품 관직. 시중(侍中)과 같은 수상(首相)과 같다.

내직랑(內直郞)
고려 때 동궁(東宮:세자의 거처)에 소속된 종 6품의 벼슬.

영원장군(寧遠將軍)
고려 때 정 5품의 무산계(武散階:무신의 품계).

녹사(錄事)
고려 때 정 5품의 무관 벼슬. 조선 때 각 관아에 속한 하급이속(吏屬).

대사간(大司諫)

조선 때 사간원(司諫院)의 최고직으로 임금에게 충간(忠諫)하는 일을 하는 정 3품의 벼슬.

대사성(大司成)

조선 때 성균관의 최고직, 유학(儒學)에 관한 일을 맡아하던 정 3품의 관리.

대사헌(大司憲)

조선 때 사헌부(司憲府)의 수장으로 종 2품 관리.

대장(大將)
조선 때 정 2품의 무관직, 호위청(扈衛廳)에는 정 1품의 관리를 임명하였다.

대장(臺長)

사헌부(司憲府)의 장령(掌令:정 4품)과 지평(持平:정 5품)을 가르키는 말.

대장군(大將軍)
신라 무관직의 으뜸. 고려 때 종 3품의 무관직.

대정(隊正)
고려 때 무관의 벼슬, 촤하위 군관으로 종 9품의 벼슬.

대제학(大提學)

조선 때 홍문관(弘文館), 예문관(藝文館)에 소속된 정 2품의 관직.

대호군(大護軍)
고려 무관직으로 종 3품. 조선의 무관직이며 종 3품의 벼슬.

도사(都事)

고려 때 종 7품의 관직, 조선 때 관리의 감찰을 담당한 종 5품 관리.

도선(導善)
조선 때 종학(宗學)에 소속된 정 4품의 벼슬.

도순문사(都巡問使)

고려의 외관직(外官職)으로 주(州), 부(府)의 장관을 겸했다.

도순찰사(都巡察使)
조선의 군관직. 정 2품, 종 2품의 관찰사가 겸임한 임시직.

도승지(都承旨)

조선 때 승정원(承政院)의 정 3품의 관리. 지금의 대통령 비서실장.

도원수(都元帥)
고려, 조선 때 전시에 군대를 통괄하던 임시 무관직.

도정(都正)

조선의 관직, 종친부(宗親府), 돈령부(敦寧府)에서 종친 사무를 담당한 정 3품의 벼슬.

도제조(都提調)
조선 때 각 관청의 정 1품의 벼슬.

도청(都廳)
조선 때 준천사(濬川司)에 속한 정 3품의 당상관(堂上官)

도체찰사(都體察使)
조선 때 관직, 전시에 의정(議政)이 겸임하는 최고 군직.

도총관(都總管)

조선 때 오위도총부(五衛摠總府)의 우두머리로 정 2품의 관리.

돈신대부(敦信大夫)
조선 때 종 3품의 품계를 가진 문관 벼슬로 의빈(儀賓)에게 내린 벼슬.

돈용교위(敦勇敎尉)
조선 때 무관의 관계(官階)로 정 6품의 벼슬.

돈의도위(敦義徒尉)
조선 때 무관의 토관계(土官階)로 정 7품의 벼슬.

동부승지(同副承旨)
조선 때 승정원(承政院)에 소속된 정 3품의 벼슬.

동지경연사(同知經筵事)
조선 때 경연청(經筵廳)에 소속된 종 2품의 벼슬.

동지돈령부사(同知敦寧府事)
조선 때 돈령부(敦寧府)에 속한 종 2품의 벼슬.

동지사(同知事)

조선 때 종 2품의 관직으로 이들의 직함은 소속 관청명 위에 동지(同知)를 쓰고 관청 밑에 사(事)를 사용 하였다.

동지삼군부사(同知三軍府事)

조선 때 삼군부에 소속된 종 2품의 벼슬, 대장(大將)이 겸한다.

동지성균관사(同知成均館事)

조선 때 성균관에 속한 종 2품의 벼슬.

동지원사(同知院事)
고려 때 중추원(中樞院)에 속한 종 2품의 벼슬.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
조선 때 의금부에 소속된 종 2품의 벼슬.

동지춘추관사(同知春秋館事)

조선 때 춘추관에 소속된 종 2품의 벼슬.

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

조선 때 절도사(節度使)에 소속된 종 4품의 무관직.

만호(萬戶)

고려, 이조 때의 외관직(外官職)으로 정 4품의 무관직.

명덕대부(明德大夫)

조선 때의 관계(官階)로 숭덕대부(崇德大夫)를 개칭한 것 임.

명선대부(明善大夫)

조선 초기 종친들에게 하사하던 관계(官階)로 정 3품의 당상관(堂上官).

명신대부(明信大夫)
조선 초기에 의빈(儀賓)에게 주던 종 3품의 관계(官階).

목 사(牧 使)
조선 때 각 목(牧)의 으뜸 벼슬로 정 3품의 관직.

명위장군(明威將軍)

고려 때 종 4품의 무산계(武散階).

무공랑(務功郞)
조선 때 정 7품의 문반 관계로 종친 및 의빈에게 내린 벼슬.

문사(文師)

고려 때 유수관(留守官)이나 대도호부(大都護府)에 소속된 9품의 관직.

문하녹사(門下錄事)

고려 때 문하성(門下省)에 소속된 정 7품의 관직.

문하사인(門下舍人)
고려 때 문하부(門下部)에 소속된 정 4품의 관직.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고려 때 문하부에 소속된 정 2품의 관직.

문하시중(門下侍中)

고려 때 문하성에 소속된 종 1품의 관직.

문하우시중(門下右侍中)

고려 때 문하부의 관직으로 문하시중을 고쳐 부르는 말.

문하좌시중(門下左侍中)

고려 때 문하부의 관직으로 문하시중을 고쳐 부르는 말.

문하주서(門下注書)
고려 때 문하부의 종 7품의 관직으로 첨의주서(僉議注書)라고도 한다.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고려 때 문하부의 정 2품의 벼슬로 찬성사(贊成事)라고도 한다.

문하평리(門下評理)

고려 때 문하부 소속으로 종 2품의 관직.

밀직판원사(密直判院使)

밀직사(密直司) 소속의 종 2품의 관직.

밀직원사(密織院事)

밀직지원사(密織知院事), 밀직사의 종 2품의 관직.

밀직부사(密直府事)

밀직사의 소속으로 정 3품의 관직.

방어사(防禦使)
조선 때 지방 관직으로 각 도(道 )의 요지를 방어하는 병권(兵權)을 가진 종 2품의 벼슬.

백호(百戶)
고려, 조선 때 5, 6품의 무관직으로 청백하고 무술이 능한 관원.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고려 정 1품의 품계(品階). 벽상공신(壁上功臣)의 무관.

별장(別將)
고려 때 정 7품의 무관직. 조선 때 각 영에 소속된 종 2품의 무관직.

별제(別提)

조선 때 6품의 관리로 6조(曹)에 속해 있었다.

별좌(別坐)

조선 때 정 5품 또는 종 5품의 관리.

별효장(別驍將)
조선 때 수원(水原) 총리영(總理營) 소속의 정 3품의 군인.

별후부천총(別後部千總)

조선 때 어영청(御營廳)에 소속된 정 3품의 군인.

병마사(兵馬使)
고려 때 동, 북 양계(兩界)의 군권을 지휘하는 정 3품의 벼슬.

병마방어사(兵馬防禦使)

조선 때 각 지방의 군대를 통솔하던 종 2품의 무관직.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조선 때 각 지방의 군대를 통솔하던 종 2품의 무관직.

병마절제사(兵馬節制使)

조선 때 각 고을 수령이 겸직하는 군사직.

병부상서(兵部尙書)
고려 때 병부(兵部)의 장관. 지금의 국방부 장관과 같다.

병절교위(秉節校尉)
조선 때 종 6품에 속하는 무관의 관계(官階).

병조판거(兵曹判書)
조선 때 병조(兵曹)의 우두머리로 지금의 국방부장관과 같다.

병직랑(秉直郞)
조선 때 종친(宗親)에 주던 정 5품의 동반관계(東班官階).

보공장군(保功將軍)
조선 때 무관의 관계(官階)로 종 3품의 벼슬.

보국대장군(輔國大將軍)
고려 때 정 2품의 무산계(武散階).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조선의 정 1품의 품계.

보 덕(輔 德)
조선의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서 세자를 가르치던 종 3품의 벼슬.

보신대부(保信大夫)

조선 초기에 종친에게 주던 종 3품의 관계(官階).

봉렬대부(奉烈大夫)
조선 때 정 4품의 관계(官階).

봉사(奉事)

조선의 종 8품 관직.

봉상대부(奉常大夫)
고려 때 정 4품의 문산계(文散階).

봉상시정(奉常寺正)

조선 때 봉상시 소속의 정 3품 관원.

봉선대부(奉善大夫)

조선의 정 4품의 문산계(文散階)

봉성대부(奉成大夫)

조선의 종 4품의 관계로 종친에게만 하사하였다.

봉순대부(奉順大夫)

고려, 조선 때 정 3품의 문관 품계(品階).

봉어(奉御)

고려 때 각 관청 소속의 정 6품의 관직.

봉의랑(奉議郞)

조성 때 종 5품의 문관 관계(官階)

봉익대부(奉翊大夫)

고려 때 종 2품의 문산계(文散階). 영록대부(榮祿大夫).

봉정대부(奉正大夫)
조선 때 종 4품의 문관(文官)과 종친에게 준 관계(官階).

봉직랑(奉直郞)

조선 때 종 5품의 문관(文官)과 종친에게 준 관계(官階).

봉헌대부(奉憲大夫)

조선 때 정 2품으로 의빈(儀賓)에게 준 품계(品階).

부신금(副愼禽)

조선 때 정원서(掌苑署)에 소속된 종 8품의 잡직.

부신수(副愼獸)

조선 때 궁중의 정원을 관리하던 종 9품의 잡직.

부위(副尉)

조선 때 의빈부(儀賓府)에 속한 정 3품의 관직이며 조선말의 무관.

부윤(府尹)

조선 때 정 2품의 지방 관직으로 부(府)의 우두머리.

부응교(副應敎)

조선 때 홍문관에서 경서와 사적(史籍)을 관리하던 종 4품의 관직.

부장(部將)
조선 때 무관직으로 오위에 속한 종 6품의 벼슬.

부장(副將)

조선 말의 무관으로 정 2품이며 상장(上將) 밑의 관직.

부전수(副典需)
조선 때 내수사(內需司)에 소속된 종 6품의 관직.

부전악(副典樂)

조선 때 장악원(掌樂院)에서 음악에 관한일을 한 종 6품의 관직.

부전율(副典律)

조선 때 장악원(掌樂院)에서 음악에 관한일을 한 종 7품의 관직.

부전음(副典音)
조선 때 장악원(掌樂院)에서 음악에 관한일을 한 종 8품의 관직.

부정(副正)
고려 때 각 관청 소속의 종 4품 관직. 조선 때 각관청의 종 3품 관직.

부정자(副正字)

고려와 조선 때 교서관(校書館)과 승문원(承文院)의 종 9품의 벼슬.

부제조(副提調)

조선 때 각 기관에 소속된 정 3품의 관직.

부제학(副提學)
조선 때 홍문관(弘文館)의 정 3품의 관직. 제학(提學)의 다음 벼슬.

부사(府使)
고려, 조선 때 지방 관직으로 각 부의 수령을 말한다.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정 3품), 도호부사(都護府使:종 3품)를 칭함.

부사(副使)

고려 때 사(使)의 다음가는 관직으로 5-6품을 가르킨다.

부사과(副司果)

조선의 5위(五衛)에 속한 무관직(武官職)으로 종 6품의 벼슬.

부사맹(副司猛)

조선의 5위(五衛)에 속한 무관직(武官職)으로 종 8품의 벼슬.

부사소(副司掃)

조선의 액정서(掖庭署)에 속한 종 9품의 잡직(雜織).

부사안(副司案)

조선의 액정서(掖庭署)에 속한 종 7품의 잡직(雜織).

부사약(副司)
조선의 액정서(掖庭署)에 속한 종 6품의 잡직(雜織).

부사용(副司勇)
조선의 5위(五衛)에 속한 종 9품의 무관직(武官職).

부사정(副司正)
조선의 5위(五衛)에 속한 종 7품의 무관직(武官職).

부사직(副司直)

조선의 5위(五衛)에 속한 종 5품의 무관직(武官職).

부사포(副司)
조선의 액정서(掖庭署)에 속한 정 8품의 잡직(雜織).

부수(副守)

조선의 종친부(宗親府)에서 종실과 종친에 관한 일을 보던 종 4품의 관직.

부수찬(副修撰)

조선의 홍문관(弘文館)에서 내외(內外)의 경적(經籍)과 문한(文翰)에 관한 일을 맡아본 종 6품의 벼슬.

부승지(副承旨)

고려 때 광정원(光政院) 소속의 종 6품, 밀직사로 고친후 정 3품이 됨.
조선 때 승정원(承政院)의 정 3품 관직, 지금의 대통령 비서실 차장급.

부직장(副直長)

고려 때 정 8품 관직. 조선 때 상서원(尙瑞院) 소속의 정 8품 관직.

부창정(副倉正)

고려 때 각 군현(軍縣)에 소속된 지방 관직.

부첨사(副詹事)

조선 말의 관직으로 왕태자궁의 주임관(奏任官) 벼슬.

부총관(副摠管)

조선 때 5위도총부(五衛都摠府)에 속한 정 2품의 무관직.

부총제사(副摠制使)

고려 말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에 속한 정 2품의 무관직.

부호군(副護軍)

조선의 5위(五衛)에 속했던 종 4품의 무관.

부호장(副護長)

고려 때 호장(戶長) 아래 관직이며 대등(大等)을 바꾸어서 부르는 말.

분순부위(奮順副尉)

조선 때 무관의 관계(官階)로 종 7품.

비서감(秘書監)

고려 때 비서성(秘書省) 소속의 종 3품 관직.

비서관(秘書官)

관청의 장관(長官)에 직속되어 기밀사무를 맡아보는 관리.

비서랑(秘書郞)

고려 때 비서성(秘書省)에 소속된 종 6품의 관직.

비서승(秘書丞)

고려 때 비서성(秘書省)에 소속된 종 6품의 관직.

빈객(賓客)

조선 때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서 세자에게 경서와 도의(道義)를 가르치던 정 2품의 관직.

사(師)

조선 때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에서 세자에게 경서와 사기(史記)를 가르치던 정 1품관으로 영의정을 겸임하였다.

사간(司諫)

조선 때 사간원(司諫院) 소속으로 임금의 잘못을 간(諫)하고 논박(論駁)하는 일 을 한 종 3품의 관직.

사경(司經)

조선 때 경연청(經筵廳)에 속한 정 7품의 벼슬.

사과(司果)

조선 때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에 속한 정 6품의 무관직.

사공(司空)

고려 때 삼공(三空)의 하나로 정 1품의 벼슬.

사도(司徒)

고려 때 삼공(三空)의 하나로 정 1품의 벼슬.


사맹(司猛)
조선 때 오위(五衛)에 속한 정 8품의 벼슬.

사사(司事)

고려 때 밀직사(密直司) 소속의 종 2품 벼슬.

사서(司書)

조선 때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소속의 정 6품의 관직.

사성(司成)

조선 때 성균관(成均館)에서 유학을 가르치던 종 3품의 관리.

사알(司謁)

조선 때 액정서(掖庭署)에 소속되어 임금의 명령을 전달하던 정 6품의 관직.

사업(司業)

조선 때 성균관(成均館)에서 유학을 가르치던 정 4품의 관리.

사예(司藝)
조선 때 성균관 소속의 정 4품의 벼슬.

사용(司勇)

조선 때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에 속한 정 9품의 무관직.

사의(司議)

조선 때 장예원(掌隸院)에서 노예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정 5품의 벼슬.

사의대부(司議大夫)

고려 때 문하부(門下府) 소속의 정 4품의 관직.

사인(舍人)

신라 때 사지(舍知:13등급)에서 대사(大舍:12등급)를 총칭하는말.

사재(舍宰)
조선의 관직으로 의정부, 우참찬(右參贊:정 2품)을 말한다.

사자(司者)

부여와 고구려의 관직으로 정 3품에서 정 5품까지 다양했다.

사정(司正)

조선의 오위(五衛)에 속한 정 7품의 관직.

사지(司紙)

조선 때 조지서(造 紙署)에서 종이 제조에 관한일을 맡은 종 6품의 벼슬.

사직(司直)

조선의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에 속한 정 5품의 부관직.

사평(司評)

조선 때 장예원(掌隸院)에 소속된 정 6품의 관직.

사포(司圃)
조선 때 사포서(司圃署)의 정 6품으로 궁중의 채소, 원예를 관리함.

사포(司鋪)

조선 때 액정서(掖庭署)의 소속으로 정 8품의 관직.

산사(算士)

조선 때 호조(戶曹), 산학청(算學廳)의 소속으로 종 7품 관이며, 지금의 계리사.

산원(散員)

고려와 조선 초기의 군관 의 계급으로 정 8품의 관직.

산학교수(算學敎授)

조선 때 호조(戶曹)에 소속되어 회계(會計)를 담당한 종 6품의 벼슬.

산학박사(算學博士)

신라 때 산술(算術)을 가르치던 교수이며, 고려 때 종 9품으로 국자감(國子監)에 서 산술을 가르치던 교수이다.

삼공(三公)

고려 때 사마(司馬). 사도(司徒). 사공(司空)의 총칭으로 정 1품.조선 때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의 총칭으로 정 1품의 벼슬.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

조선 때 해군 총사령관.

삼도육군통어사(三道陸軍統禦使)

조선 말기의 무관직으로 육군의 총수.

삼사(三師)

고려의 태사(太師). 태부(太傅). 태보(太保)를 말하며 임금의 고문 또는 국가 최고의 먕예직으로 정 1품의 벼슬이다.

삼사사(三司使)

고려 때 삼사(三司)에 속한 정 3품의 벼슬.

상경(上卿)

정 1품과 종 1품의 판서(判書)를 가르키는 말.

상경(尙更)

조선의 내시부(內侍府)에 소속되어 임금의 시중을 들던 정 9품의 벼슬.

상다(尙茶)

조선 때 내시부(內侍府)에 소속된 정 3품으로 임금의 시중을 들었다.

상당(上堂)

신라 때 내마(柰麻:11등급)에서 아찬(16등급)에 해당하는 벼슬.

상대등(上大等)

신라 때 최고관직으로 모든 정사를 총괄했다.

상례(相禮)

조선 때 통례원(通禮院)에 소속된 종 3품의 관리.

상만호(上萬戶)

고려 때 군직으로 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 다음의 벼슬이다.

상문(尙門)

조선 때 내시부(內侍府)에 소속된 종 8품의 벼슬.

상서(尙書)

고려 때 6부에 두었던 정 3품의 관직으로 판서. 전서 등으로 변경 되었다.

상서령(尙書令)
고려 때 상서성(尙書省)의 우두머리로 종 1품의 벼슬.

상서좌우승(尙書左右丞)

고려 때 종 3품의 관직으로 상서도성(尙書都省)에 속한 벼슬.

상선(尙膳)
조선의 內侍府)에 소속된 종 2품의 벼슬로 궁중식사를 담당한 벼슬.

상세(尙洗)

조선의 內侍府)에 소속된 종 2품의 벼슬로 주방일을 담당하였다.

상시(常侍)

고려 때 좌산기상시(左散驥常侍). 우산기강시(右散驥常侍)를 통틀어 산기상시(散驥常侍)라하고 약칭 상시라 하였다.

상약(尙藥)

조선 때 내시부(內侍府)에 소속된 종 3품의 관직이며, 궁중의 약에 관한 일을 맡아 보았다.

상원수(上元帥)

조선 때 무관직으로 출정하는 군대의 총수.

상위사자(上位使者)

고구려의 관직으로 정 6품의 관직이다.

상장군(上將軍)

신라 때 대장군(大將軍) 밑의 무관직.

상좌평(上佐平)

백제의 16관 등급중 좌평의 우두머리.

상주국(上柱國)

고려 때 정 2품의 훈게(勳階).

상호(尙弧)

조선 때 내시부(內侍府)에 소속된 정 5품의 벼슬.

상호군(上護軍)

고려의 무관직. 조선 때 5위에 속한 정 3품의 무관직.

서윤(庶尹)

조선 때 한성부(漢城府). 평양부(平壤府) 소속의 종 4품의 벼슬.

서장관(書壯官)

조선 때 관직으로 연행사(燕行使)의 일행인 기록관.

서학박사(書學博士)

고려 때 국자감(國子監)에서 글씨를 가르치던 종 9품의 벼슬.

선략장군(宣略將軍)

조선 때 종 4품의 무관계로 경력. 첨정(僉正). 부호군 등이 되었다.

선무사(宣撫使)

조선 때 재해나 병란이 발생시 지방에 파견되는 관리.

선부(膳夫)

조선 때 사옹원(司饔院)에 소속된 종 7품의 벼슬.

선용부위(宣勇副尉)

조선 때 종 7품의 무관직.

선위사(宣慰使)

조선 때 사신을 영접하던 임시직. 3품이상의 당상관이 임명.

선위장군(宣尉將軍)

고려 때 종 4품 무관의 관계(官階).

선의랑(宣議郞)

고려 때 종 7품 문관의 관계(官階).

선전관(宣傳官)

조선 때 선전관청(宣傳官廳)에 소속된 정 3품에서 종 9품의 관리.

선절교위(宣折校尉)

고려 때 정 8품의 무산계(武散階).

선절부위(宣折副尉)

고려 때 정 8품의 무산계(武散階).

선직랑(宣職郞)

조선 때 동반(東班)의 정 6품의 토관직(土官職).

선화(宣畵)

조선 때 도화서(圖畵署)에 소속되어 그림을 담당하던 종 6품의 관직.

선회(善繪)

조선 때 도화서(圖畵署)에 소속되어 그림을 담당하던 종 7품의 관직.

선휘대부(宣徽大夫)

조선 때 종친과 문관에게 주던 정 4품의 관계(官階).

설경(說經)

조선 때 경연(經筵)에 속했던 정 8품의 벼슬.

성록대부(成祿大夫)
조선 때 의빈(儀賓)에게 내리던 정 1품의 관계(官階).

세마(洗馬)

고려 때 동궁(東宮)에 속한 종 5품의 관직이며, 조선 때 정 9품의 관직.

세자부(世子傅)

고려 때 세자의 스승. 조선 때 세자시강원에 속한 정 1품의 벼슬.

세자사(世子師)

고려 때 세자의 스승. 조선 때 세자시강원에 속한 정 1품의 벼슬.

소감(少監)

신라 때 무관직. 고려 때 4∼5품의 관직. 조선 때 종 4품의 벼슬.

소경(少卿)

고려 때 종 4품의 벼슬. 조선 때 4품의 벼슬.

소덕대부(昭德大夫)

조선 때 종친과 문관에 주던 종 1품의 관계(官階).

소윤(少尹)

신라 때 지방관직. 고려 때 종 4품의 벼슬. 조선 때 한성부(漢城府). 개성부(開城府) 소속의 정 4품의 관직.

소의대부(昭儀大夫)

조선 때 종친에게 주던 종 2품의 벼슬.

소첨사(小詹事)

고려 때 첨사부(詹事府)의 종 3품의 벼슬.

수국사(修國史)

고려 때 감수국사(監修國史) 다음으로 2품이상이 겸임하는 사관이다.

수군방어사(水軍防禦使)

조선 때 수군을 통솔한 종 2품의 무관직.

수군절도사(水軍節度使)

조선 때 수군을 통제하기 위해 둔 정 3품의 무관직.

수군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

조선 때 진(鎭)의 수군을 지휘한 종 3품의 무관직.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

고려 때 문하부(門下府)의 대신(大臣).

수어사(守御使)

조선의 수어청(守禦廳)의 장관. 광주유수(廣州留守)가 겸임한 정 2품의 벼슬.

수의도위(守義徒尉)

조선 때 종 7품으로 토관계(土官階)로 문관직.

수의부위(守義副尉)

조선 때 종 8품의 무관에게 눈 관계(官階).

수임교위(修任校尉)

조선 때 문반의 정 6품에 속하는 잡직계(雜織階).

수직랑(修職郞)

고려 때 7품의 문산계(文散階).

수찬(修撰)

고려 때 예문관(藝文館)에 속한 사관(史官)으로 정 2품의 관직이었으나 후에 정 8품이 되었다. 조선 때 홍문관(弘文館)의 정 6품.

수찬관(修撰官)

고려 때 한림원(翰林院) 소속의 3품 이하가 겸직한 사관(史官).조선 때 춘추관(春秋館)의 정 3품의 관직으로 부제학(副提學 )을 겸함.

순무사(巡撫使)

고려 때 안무사(按撫使)를 개칭한 것으로 지방관을 감찰하는 관직.

순위관(巡衛官)

고려 때 사평순위부(司平巡衛府)에 소속된 참상관 밑의 벼슬.

숭덕대부(崇德大夫)

조선 때 의빈(儀賓)에게 주던 종 1품의 관계(官階).

숭록대부(崇祿大夫)

고려와 조선 때 종 1품의 문산계(文散階).

숭정대부(崇政大夫)

조선 때 문관(文官)에게 주던 종 1품의 관계(官階).

숭헌대부(崇憲大夫)

조선 때 종친에게 주던 정 2품의 관계(官階). 후에 문관에게도 주었다.

승(丞)

고려와 조선 때 각 관청에 소속된 정 5품∼정9품의 관원.

승무랑(承務郞)

조선 때 종 7품의 잡직관계(雜織官階).

승봉랑(承奉郞)

고려 때 종 8품의 문산계(文散階).

승사랑(承仕郞)

조선 때 종 8품의 문산계(文散階).

승선(承宣)

고려 때 왕명의 출납을 맡아본 정 3품의 관직이며 승지(承旨)의 다른말.

승의랑(承議郞)

조선 때 정 6품의 문산계(文散階).

승의부위(承義副尉)

조선 때 정